📋 민원 탐방일지

무단횡단 사고, 보행자 과실비율과 보호 범위는?

생활탐정 J 2025. 5. 25. 19:19

 

안녕하세요, 생활탐정 J입니다. 오늘은 도로에서 자주 발생하는 무단횡단 사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보행자가 무단횡단 중 사고를 당했을 때 과실비율은 어떻게 산정되며, 보행자 보호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살펴보겠습니다.

 

 

🚶‍♂️ 무단횡단 사고 시 보행자 과실비율

무단횡단은 도로교통법상 위반 행위로 간주되며, 사고 발생 시 보행자에게도 일정 부분 과실이 인정됩니다. 과실비율은 도로의 형태, 사고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.

  • 편도 1~2차선 도로: 보행자 과실 약 20~30%
  • 편도 3차선 이상 도로: 보행자 과실 약 30~40%
  • 야간 시간대: 보행자 과실 5~10% 추가
  • 보행자 음주 상태: 보행자 과실 10~20% 추가

예를 들어, 편도 2차선 도로에서 야간에 음주 상태로 무단횡단을 하다 사고가 발생한 경우, 보행자의 과실은 최대 60%까지 인정될 수 있습니다.

 

 

🛡️ 보행자 보호 범위

도로교통법 제10조에 따르면, 운전자는 보행자를 보호할 의무가 있습니다. 그러나 보행자가 무단횡단을 하는 경우, 운전자의 책임이 경감될 수 있습니다.

  • 운전자가 제한속도를 준수하고 전방주시를 철저히 한 경우: 보행자의 과실이 더 크게 인정될 수 있습니다.
  • 운전자가 과속하거나 전방주시를 소홀히 한 경우: 운전자의 과실이 더 크게 인정될 수 있습니다.

즉, 보행자가 무단횡단을 하더라도 운전자의 주의 의무 위반이 인정되면, 운전자에게도 상당한 과실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.

 

 

📋 사고 발생 시 대응 체크리스트

무단횡단이든 정상 횡단이든, 교통사고 발생 시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아래 체크리스트를 참고해 사고 후 대응 절차를 숙지해 두세요.

  1. 1. 즉시 112에 신고 - 사고 발생 직후 경찰에 신고하여 사고 접수를 남기세요.
  2. 2. CCTV 및 블랙박스 확보 - 인근 상가, 교차로, 차량 블랙박스 등 영상 자료를 최대한 빠르게 요청합니다.
  3. 3. 병원 진단서 발급 - 부상이 있을 경우 즉시 병원에 가서 진단서를 발급받습니다.
  4. 4. 상대방 보험사 확인 및 연락 -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보험사에 사고 사실을 접수하고 담당자 배정 요청
  5. 5. 경찰 조사 시 진술 정리 - 보행자: 신호 준수, 주변 상황, 진입 위치 명확히 설명 - 운전자: 제한속도 준수, 전방주시 등 주의의무 이행 강조

📌 TIP: 스마트폰에 교통사고 기록 앱이나 자동 영상 백업 앱을 설치해두면 위급상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요.

 

 

📌 사고 예방을 위한 팁

  • 보행자: 횡단보도를 이용하고, 무단횡단을 삼가세요.
  • 운전자: 제한속도를 준수하고, 전방주시를 철저히 하세요.
  • 야간 운전 시: 보행자 발견이 어려우므로 더욱 주의하세요.

무단횡단은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에게 위험을 초래합니다. 서로의 안전을 위해 교통법규를 준수하고, 항상 주의를 기울이시기 바랍니다.

 

감사합니다.